11월 12일 드디어 디즈니 플러스가 국내 상륙하여 오픈됩니다. 정말 국내 오픈 전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는데요. 넷플릭스, 애플 TV, HBO(내년 출시) 등 거대 글로벌 OTT 업체들과 국내 왓챠, 웨이브, 티빙 등의 업체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. 일명 OTT 전쟁의 시작점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디즈니 플러스 컨텐츠 어떤 것들이 있나?
디즈니 플러스는 마블 시리즈, 스타워즈 시리즈, 디즈니/픽사 애니메이션 시리즈 등 매니아 층이 두터운 컨텐츠와 유명 예능 프로그램 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 현재 디즈니 플러스 홈페이지에서는 월 9,900원의 멤버십으로 구독이 가능하며 연 99,000원으로 구독이 가능합니다.
디즈니 플러스가 상륙함에 따라 KT에서는 5G 데이터 완전 무제한에 디즈니 플러스까지 볼 수있는 디즈니+ 초이스 요금제(슈퍼플랜 프리미엄 초이스 13만원/ 스페셜 초이스 11만원 / 베이직 초이스 9만원)를 출시하는 한편 LG 유플러스는 인터넷 TV 독점 디즈니플러스 제휴 요금제를 출시하여 월 2만 4600원에 IPTV와 디즈니 플러스를 모두 시청할 수 있는 상품을 출시한다고 합니다.
국내 OTT 시장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?
디즈니 플러스가 국내에 상륙함에 따라 국내 OTT 시장은 다각화될 것이며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. 애플 TV가 최근에 국내 출시되었고 내년에는 HBO가 <왕자의 게임> 등 유명 미국 드라마를 가지고 한국에 진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그리고 최근에 <오징어게임>으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넷플릭스를 위협할 수 있을지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.
오히려 글로벌 OTT 업체들의 경쟁은 덜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데요. 이는 각 유저의 취향이나 컨텐츠 성향에 따라 한 OTT 업체를 구독하거나 다양한 OTT 업체를 모두 구독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. 하지만 상대적으로 콘텐츠 경쟁력이 떨어지는 국내 OTT 업체들은 큰 위협이 될 전망인데요. 한 전문가는 토종 OTT끼리 연합전선을 세우거나 뭉치고 세계적인 인기가 입증된 한국 웹툰또는 웹소설 등을 콘텐츠화 하는 등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방법이 돌파구가 될 것이라 조언하였습니다. 또한 <오징어게임>이 국내에서 빛을 발휘하지 못하고 넷플리스라는 거대한 자본을 지닌 기업을 만나 흥행한 것과 같이 정부의 규제완화와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급선무로 보입니다.
'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버랜드 할인, 이용 및 주차 꿀팁 알아보기 (1) | 2021.12.23 |
---|---|
통신사 3사 알뜰폰시장 점유율 50% 넘어 제도 개선 필요 (0) | 2021.12.20 |
경구용 코로나 19 치료제 선구매, 내년 2월부터 도입 예정 (0) | 2021.11.10 |
코로나 백신접종 여행 국가 아시아편 (필요서류) (0) | 2021.11.06 |
댓글